Soteriology(구원론)이란 말은 soteria라는 희랍어와 logos라는 희랍어 두 말에서 온 것이다. Soteria의 의미는 구원이며 logos의 의미는 말씀,강화,교리이다. 그런즉 soteriology란 말은 구원에 관한 교리이다.
1.하나님의 목적,계획,방법
A.하나님의 목적
(1)인간의 성품에 나타난 하나님의 목적
인간의 타락은 인간의 원래의 무죄성과 거룩성을 상실케 했지만, 그래도 인간으로부터 그의 모든 영적 지식을 모조리 빼앗아 간 것은 아니다.
A)하나님에 관한 지식
모든 사람 속에 하나님(신)에 대한 직관적 지식이 있음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롬1:19-23).
B)죄에 관한 지식
모든 인간은 죄의 존재성을 인정한다.
C)제사의 필요성
인류는 그들 나름대로의 신에게 제물을 드려 제사를 드려왔다. 그들이 중보자(제관)와 중보의 사역(희생제사)의 필연성을 확신한다는 사실은 하나님께서 인류를 구원하시기로 목적하신 사실을 변호해 주는 증거에 보탬이 되고 있다.
(2)성경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목적
A)율법
a.모세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현현과 때로는 이스라엘 온 회중에게 나타난 그 현현의 사실은 인격적인 하나님에 관한 신앙을 확증하고 발전시켰다. b.율법은 죄를 깨닫도록 인도했다(롬3:20). c.제사제도와 제사를 집행할 제사장제도의 확립은 죄책을 제거해야 하는 어떻 방법에 대한 필요성과 하나님이 쓰시는 그 방법의 대책을 지시했다. 모세를 통해 온 율법은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길을 예비한 것이다.
B)예언서
a.그리스도가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다(창3:15).
b.그리스도가 야곱에게서 경건치 않는 자를 돌이키신다(롬11:26,27,참고.사59:20).
c.그리스도께서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신다(사53:12). 이렇게 하기 위하여
d.그의 영혼을 죄를 위한 속죄제물로 삼는다.
e.그의 영혼을 죽음에 내어 주신다.
f.그가 범죄자 중에 하나로 헤아림을 받는다(상53:10,12).
하나님의 계시가 구약의 많은 인물과 행위 가운데서도 나타난다(아담,멜기세덱,요셉,모세,여호수아,다윗,솔로몬,요나, 이삭의 제사,모세가 만든 놋뱀의 사건 등). 그리스도는 유대교의 많은 모형과 예식이 지향하고 있던 실체이다. 그리스도가 오셨을 때 다른 것들은 사라졌다. 엡1:9,10,3:11.
B.하나님의 계획
자연 가운데서도 질서적인 방법으로 역사하시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구원은 모호하고 불확실한 실험단계에 방치해 두시지는 않으신다. 즉 성경은 하나님께서 일정한 구원 계획을 지니고 계심을 보여주고 있다.
(1)하나님의 계획에 관한 계시
우리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알기 위해서 성경으로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성경을 공부할 때에는 전체적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안된다. 어떤 한 구절만 가지고는 전체적인 하나님의 뜻을 오해하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이다(예,마19:17).
(2)하나님의 계획의 개요
성경은 하나님께서 그의 아들의 인격과 사역 안에서 구원을 준비해 오셨다고 가르친다. 이 아들이 우리의 육체를 입으시고 우리 대신 죽으셨으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시고 하나님께로 승천하사 하나님 우편에서 권좌를 누리시며 믿는 자를 위해 하나님 앞에 나타나고 계신다. 이 아들께서 구속을 완성시키고자 반드시 다시 오신다. 하나님의 아들의 이 사역은 우리를 죄책과 형벌과 죄의 세력에서 구출하시고 최종적으로는 죄의 존재에서부터 깨끗이 우리를 구해내실 목적을 위해 있는 것이다. 이 사역 속에는 인간의 죄 때문에 허무한데 복종하고 있는 자연의 구속까지 포함된다. 구원의 일반적인 의미로는 세계를 위해 있는 것이나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리스도를 믿고 그의 길을 따라 행하는 자들인 택함받은 자를 위해 있는 것이다. 회개는 구원에 필수적이다.그러나 회개는 단순히 마음의 준비이지 그것이 생명의 은사를 받기 위해 지불된 값은 아니다. 성령은 개개 영혼에게 구원을 적용시키는 대행자이시다. 성령은 하나님의 말씀을 사용하시사 죄를 깨닫게 하시며 그리스도에게로 나아가는 길을 지시하시고 영혼을 중생시킨다. 성령은 성화의 사역을 계속하며 마침내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에 구속함을 받은 자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한다.
C.하나님의 방법
하나님께서 지니신 구원의 계획은 단 하나이지만, 이에 관련해서 사람을 다루시는 방법은 다양하다.
(1)과거
A)에덴동산 시대
B)홍수이전 시대
C)홍수이후 시대
D)족장 시대
E)모세율법 시대
(2)현재(교회시대,은혜시대)
(3)미래(천년왕국시대)
2.선택과 소명
선택과 소명은 하나님의 작정 안에 되어진 것으로서 논리상 구속의 작정 후에 온다고 본다. 그러나 작정의 순서에 관해 여러 견해가 있다.
후택설 - 1.창조적정 2.타락허용작정 3.모든 사람에게 충족한 구원준비 작정 4.혹자로 하여금 이 구원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작정,또는 선택의 작정이다.
전택설 - 1.혹자는 구원하고 혹자는 유기(遺棄)하기로 작정 2.구원받을 자와 멸망받을 자의 두 종류의 사람들을 창조한 작정 3.두 무리의 타락을 허용하는 작정 4.오직 전자, 즉 선택받은 자만의 구원을 준비하는 작정이다.
A.선택론
여기서 선택론의 입장은 후택설적인 개념의 수정이다.
1.창조작정 2.타락허용작정 3.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준비작정 4.믿는 자에게 구원을 적용한다는 작정이다.
(1)선택의 정의
선택이란 그리스도를 영접할 모든 사람을 하나님이 예지(豫知)하시고 그들에게 구원을 주시기 위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택하시는 은혜 속에 들어 있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적 행위이다.선택의 교리를 고찰함에 있어서 상존하는 위험성은 하나님의 다원적 성품의 많은 기타의 특징들은 실제적으로 베제하고 하나님의 신적성품의 한 두가지 국면만을 강조하는 일이다. 하나님의 뜻, 무한한 권능 및 편재가 크게 강조됨으로서 그의 사랑, 자비, 은혜 및 의로움이 과소평가 된다면 거기에는 거기에는 그의 피조물에게 가장 좋은 것을 주시기를 바라는, 용서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