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v.Ezra E. Kim (GTS Prof.)

에집트에 내린 재앙


출애굽기에 의하면, 하나님께서 열 가지 재앙들을 애굽(이집트)에 보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 백성이 에집트로부터 해방되는 목적은 간단하다.

야웨가 그의 백성을 찾으시는 것이다. 즉 그들로 야웨를 섬기는 민족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나를 섬길 것이니라…”(출8,20)이렇게 그의 뜻을 이루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하나의 독특한 방법을 선택하신다.


성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에집트에 내린 재앙을 기록하고 있다.

1)피(7,14-25), 2)개구리(7,26-8,11), 3)이(8,12-15), 4)파리 떼(8,16-28), 5)악질(9,1-7), 6)독종(9,8-12), 7)우박(9,13-35), 8)메뚜기(10,1-20), 9)흑암(10,21-29), 그리고 10)처음 난 것의 죽음(11,1-12,36)이다. 이러한 재앙은 다양한 해석과 문헌비판상의 논의를 지니고 있으나 그 안의 주제는 한가지로 결론되어 진다.

야웨는 에집트뿐 아니라 모든 인류에 대한 우주적 통치자임을 보여줌과 동시에, 또한 파라오에게 야웨 앞에서의 그의 존재를 알림으로 야웨가 에집트의 ‘어떤 신들보다 뛰어난’(출8,16) 큰 권능을 가졌음을 그들 스스로 알게 하려는 것이다.


이 사실은 성경의 빈번한 등장에 의해 “내가 야웨인 줄을 네가 알게 될 것이다.”로 그 목적을 종결 짓는다. 정리하자면 재앙은 “에집트인들로 하여금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갖고 있는 ‘이적 행위의 권능’에 관한 강한 인상을 받도록 하여 야웨가 누구인지를 알게 하려는데 있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 재앙은 파라오에게는 ‘완고한’ 채로 거듭 반복되어 나타남에 주목해야 한다. 성경는 계속해서 “…파라오의 마음이 완고하여…”(출7,13.22; 8,15; 9,35) 또는 “야웨께서 파라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다”(출9,12; 10,20.27)라고 말한다.


그러다가 파라오의 마음에 대해 그 의도한 바를 밝힌다. “야웨께서 파라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으므로…”(출10,1.20.27; 11,10) 이는 7,3에 야웨께서 파라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시겠다고 미리 예고하신 것과 11,9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처럼 야웨께서 에집트에서 자신의 ‘표징과 이적’을 ‘많이 일으키고자’ 함이었음을 알 수 있다.


1. 이스라엘 민족을 해방시키기 위하여 (출 3:8,19-20, 6:1,5)

2. ‘여호와가 누구관대 내가 그 말을 듣고 이스라엘 백성들을 보내겠느냐’고 물은 바로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출 5:2, 7:5, 8:22, 9:14)

3. 이스라엘 민족으로 하여금 여호와의 능력을 알게 하기 위해서 (출6:7, 10:2)

4. 이 땅(earth)은 애굽 신들에게 속한 것이 아니라, 여호와에게 속하였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 (출 9:16,29, 11:7, 시 24:1)

5. ‘애굽의 모든 신’에게 벌을 내리시기 위해서 (출12:12, 민33:4)


1. 여호와께서 바로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신 이유?(7:1-7)

1) 여호와의 표징과 이적을 많이 행하고

여러 큰 심판을 내리고

마침내 이스라엘을 출애굽시킴으로써 애굽 사람으로 하여금 여호와이신줄 알게 하기 위하여

2) 모세로 하여금 그 표징들을 후손들에게 전하여 그분이 여호와인줄 알게 하려고(10:2)

* 바로가 알아야 했던 것 :

여호와인줄 --7:17

여호와와 같은 이가 없음을--8:10, (온 천하에 나와 같은 이가 없음을 알게 하리라)-- 9:14

세상이 여호와께 속한 줄을-- 9:29


2. 지팡이를 뱀이 되게 하는 이적을 보였으나 바로가 듣지 아니한 이유가 무엇입니까?(7:8-13)

1) 애굽의 요술사들도 자기들의 요술로 그렇게 행했으므로

* 차이-- 아론의 지팡이가 그들의 지팡이를 삼킴. 이는 성령의 역사와 악령의 역사가 현상은 비슷하나 본질은 다름과 같다. 또 성령의 역사가 악령의 역사를 삼킨다.

2) 바로의 마음이 완악하므로


다음으로 이 재앙들이 애굽의 여러 신들에 대하여 어떻게 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자.


첫 번 째 재앙이 무엇입니까?

애굽인들이 생명의 근원으로 경배하고 있던 나일(Nile) 강 자체를 향하여 내려졌다. 이 재앙은 크눔(Khnum, 나일의 수호신), 하피(Hapi, 나일의 악령이며 다산의 신), 오시리스(Osiris, 지하세계의 신, 피로 변한 나일 강물은 그의 피로 여겨졌다) 등을 포함한 많은 강의 신들에게 내려진 것이다. 나일 강을 피(blood)로 변하게 하고, 물고기(Hathor와 Neith에 의해 보호받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던)들을 죽임으로, 모세는 애굽의 경배의 대상을 부끄럽게 했을 뿐만 아니라, 오직 여호와의 손으로만 생명이 유지됨을 보여 주었다.


바로가 듣지 아니한 이유가 무엇이었나요?(7:14-25)

1) 물을 피로

하수의 고기가 죽어 악취가 나고, 물을 마시지 못하게 됨

2) 요술사들도 그와 같이 함.

궁 안으로 들어가고 그 일에 관심을 가지지도 아니하였고(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기려 함)

* 7:25, “여호와께서 나일 강을 치셨다” : 모세와 아론이 한 일을 여호와께서 하신 일로 말씀함. 이는 목회자의 설교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말하는 것과 같음.


두 번 째 재앙이 무엇입니까?

무수한 수의 개구리(frog) 재앙은 풍요로운 곡식(나일의 물로부터 유래된)과 다산의 상징인 애굽의 여신 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