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모님들의 가장 큰 고민의 ‘자신의 한계’

하이패밀리, 한국교회 사모역할에 대한 인식조사


현재 사모들의 가장 큰 고민은 스스로 사모로서의 부족한 자질로 인한 한계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패밀리 가정 사역 평생교육원(원장:김향숙)은 최근 사모 357명과 평신도 375명을 대상으로 ‘한국교회 사모역할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사모로서의 부족한 자질로 인한 한계가 34.6%로, 평신도도 아니며 사역자도 아닌, 애매모호한 자리도 29.9%로 나타나 사모로서의 위치와 사역분담에 대한 논의가 절실함이 나타났다.


사모들은 교회 내에서 제자훈련(38.7%)과 가정 사역(37.1%)을 가장 하고 싶은 사역의 영역으로 뽑았다. 예전에는 사모의 역할이 식당봉사나 심방, 새 신자 관리 등 섬김과 봉사에 머물렀다면 이제는 좀 더 적극적으로 교인들을 양육하고 훈련하는 일들을 통해 영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사역하는 사모=설치는 사모’라는 인상 때문에 사모들은 자신의 재능이나 꿈을 접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 사모자신과 평신도 대부분이 더 이상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사모 81.8%, 평신도 80.4%)고 드러났다.


오히려 한 인격체로서 사모의 재능이 교회를 위해 사용되는 것은 하나님이 기뻐하는 일이라 여긴다(사모 49.3%, 평신도 51.1%)는 반응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시대는 변화했고 사모자신과 교인들의 인식에 전환이 온 것이다. 특히 사모가 교회 내 가정을 돌보는 가정사역자로 자리매김 되는 일에 대해 사모 자신과 평신도들은 적극적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모 90.2%, 평신도 83%)


이와관련 김향숙원장은 “이번 설문조사는 이 시대 사모들의 가장 큰 고민인 정체성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사모뿐만 아니라 평신도까지 양방간의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로 사모에 대한 막연한 고정관념이 아닌, 전반적인 시대적 흐름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저자 소개 제리 D. 트웬티어 - 저자는 사립, 공립하교 일반 직장 등에서 환경 훈련 경험을 20년이나 하였다. 또한 작가, 상담원, 전문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텍사스 공과대학에서 교육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40권 이상의 저 있으며 현재 주요 기관들을 위해서 인간 관계 훈련. 자기 훈련 등의 강사로 일하고 있다. 목 차 제1부 더 나은 삶을 위하여몇 칼

“가정예배는 복의 근원입니다” ? 제임스 W. 알렉산더(1804-1859) 청교도들은 가정을 작은 교회로, 아버지를 그 교회의 목사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자기 가족을 감독하며 목양하는 것은 아버지의 의무였다. 사실 오늘날처럼 그리스도인 가정에 가정 예배가 절실이 필요한 때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 예배에 대한 개념은 우리들 주변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가정예배와 영성형성 개인예배와 가정 예배를 교회에서 드리는 공동예배와 통합하는 한 유익한 길은 가정에서 드리는 예배를 공동예배의 구조를 따라 조직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일을 위해 특히 중요하다. 본 장은 독자들에게 가정예배의 면모를 소개하고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모범적인 예전을 제공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