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중국어를 하자

한국은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책적으로 모든 국민에게 이중국어를 요청하는 듯하다

그렇게 해야 될 이유를 설명하는 것을 보면 지정학적으로 한국이 중국과 일본에 샌드위치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한국이 앞으로 세계 제 7위의 선진국으로 들어서자면 지하자원이 없는 우리로서는 사람의 두뇌개발과 더불어 혁신적은 국제적 언어 감각을 익히는 길만이 살길이라고 보는 시각을 드러냈다

이러한 정책기조가 발표되자 한국은 벌집을 쑤신 것 같은 엄청난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모든 언론매체들이 이것을 핫 뉴스로 알리면서 더욱 관심을 더하는 것같다

어떤 면에서 생각해 보면 신문이나 TV뉴스에 발표되는 약간의 내용만 가지고 판단할 수 없지만 한국은 학부모는 물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선교사들까지 일대 대 변화를 느끼면서 한편은 불안하고 다른 한 편는 염려하고 또 다른 한편은 이러한 시대에 어떻게 자녀 교육을 시킬까 하는 우려들을 낳고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어쩔 수 없는 우리국민의 선택이 아닌가 하는 긍정적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많은 것 같다


이러한 뉴스를 접하면서 미국에 살고 영국과 독일에 살고 있는 동포요 교포들을 생각해보자

그리고 해외 한인교회의 방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할 때가 아닌가

Nyskc Movement를 하면서 그동안 꾸준히 한국말을 배워야 한다는 것을 역설해 왔다

이유는 크게 몇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는 하나님께서 세계선교를 위하여 우리 한인 그리스도인들을 이곳 외국 땅으로 이주 시켰다고 본다 즉 디아스포라적인 하나님의 뜻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선교를 위해서는 다중국어를 할 수 있는 하나님의 사람을 길러야 한다는 이유다

왜냐하면 앞으로의 선교는 저 깊은 골짜기에 복음을 전하는 것도 좋지만 도시선교를 위하여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한인교회의 정체성과 미래 준비를 위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권이 되었던 독일어권이 되었던 간에 세계 속에 한국의 위상은 물론 앞으로 몇 년안에 전세계 선진국 대열에 진입할 것은 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세계에서 가장 신앙이 보존되어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세계의 10대교회 중에 한국에 40%가 있으며 세계 제 2위의 선교대국이 되었다

전 세계 그리스도인들이라면 한국에서 일어나는 신앙활동과 생활을 경험하고 싶어하여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한국 교회를 방문하고 있다

물론 걱정스러운 부분이 없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아직까지는 한국교회의 신앙의 보존은 양호한 편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의 신앙은 세계적이요 그래서 유럽과 오세아니아의 신앙을 앞지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해외에 나와 있는 한인교회나 교인들을 보면 그 신앙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분들이 교회마다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앙을 해외 교포 2-3세들이 물려줄 수만 있다면 미국을 다시 선교할 수 있는 민족은 미국에 와서 살고 있으며 여기서 태어난 한인교포 그리스도인밖에 없다고 확신하게 된다

그러므로 해외에 살고 있는 그리스도인의 한인가정의 자녀들에게 다중국어를 강조하고 다중국어의 필요성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설명하며 설득하여야 할 것이다

한 예로 한국말을 쓰고 있는 자녀에게 영어를 강요하는 그리스도인들을 본다

그래서 EM이 진행되는 교회를 찾고 한국말 언어와 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정들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이제 얼마기간이 지나면 한국에서 영어권으로 관광이나 유학을 오는 아이들이 영어를 구사할 수 있고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면 해외에 살고 있는 교포 그리스도인들의 자녀들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가 하면 한인교회의 미래를 보자 영어 밖에 할 수 없는 우리의 2세 3세들이 한국어를 모른다면 하나님의 뜻인 선교를 어떻게 이룰 것이며 또한 한인교회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해외의 한인교회의 신앙 뿐 아니라 한인교회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해외교포자녀들에게 오히려 다중국어를 강조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부모와의 대화도 단절되었고 한인교회와 자녀들이 단절되었고 또 교회 안에 또 다른 교회들이 만들져 서로 다른 신앙으로 나가는 교회들이 한 두 개가 아님을 우리들은 직시해야 한다

심지어는 미래의 한인교회의 대안으로 영어를 오히려 강화시키자하고 한다

또 미국내에서 Mission Movement를 하는 단체들 중에 완전히 영어만으로 진행하는 안타까운 일도 보며 또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며 따르는 사람들이 많다

틀렸다고 하는 것보다 생각을 더 넓게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점이다

praying in the spirit Christians are quite familiar with the “I AM” statements in Scripture. They are powerful and share much about the character of Christ. They share God’s will for His son and for 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