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찬송가학(중부본부: 김성철목사)

찬송가학이란?

가사와 음악을 연구하고 공부한다.


1. 시로서의 찬송

찬송시를 어떻게 분류하며 구조와 각기 다른 형태의 찬송시를 분석 이해하도록 돕는다.

1) 운율: - 보통운율 8.6.8.6.

- 짧은운율 6.6.8.6.

- 긴 운율 8.8.8.8.

2) 강세의 모형

- Iambic(약강격의): 약박으로 시작하여 바로 강박이 오는 방식.

- Trochaic(강약격): 강박으로 시작

사실 이는 영문으로 되어있는 찬송시를 중심으로 되어 있어서 한글로 번역시 틀려 지는

수가 있다. Ex) Amazing Grace..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전혀 다른 강세를 가지고 있다.

영어에서는 A-Mazing 즉 두 번째 Ma.. 에 강세가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서는 “나 같은

에서 ‘나’에 강세가 있다. 이를 생각해 볼 때 한글의 강세를 따라 곡을 쓰는 것이 요구

된다.

3) 시적인 분류

- Allegory(비유적인 시): Ex)요단강 건너 - 천국을 가는 것 혹은 약속의 땅을 가는 것을

비유적으로 쓴 시

- Anadiplosis: 대부분 같은 후렴이 있다.

- Paradox(역설적인 시): Ex)죽으면 살리라.

- Simile(직유법적인 시): 직유, 명유, 따위의 비교를 나타내는 말을 사용하여 직접 다른

것과 비교하는 양식의 시

4) 문학상 분류

- Itemization(항목별, 조목별)

- Litany(기도문 형식)

- Call and Response(질의 응답식)

2. 음악과 찬송의 관계

1) 선율(Tune)

- 음력의 제한: 너무 낮거나 너무 높지 않은 음역

- Tessitura: 이것도 음역이다. 주로 사용되는 음력을 말함

- 음정은 한 음, 한 음 오르고 내리는 stepwise 나 3도 정도의 움직임이 좋다.

2) 화음

- 화음의 변화가 너무 많아도 좋지 않다; 화음의 변화가 단순한 음악

3)Strophic형식: 같은 음악을 모든 절이 사용하는 형식(대부분의 찬송가가 그렇다)

4) 선율의 유형, 타입

- Plainsong(정선율)

- Lutheran Chorale(루터교의 코랄)

- Calvinian Psalm Tune(칼빈의 시편가)

- Folk tune(민속 음악)

- 19th C. Gospel hymn tune(19세기 복음성가)

- 19세기 복음성가의 특징:

* 복합 리듬(Compound meter)

* 신코페이션리듬(Dotted rhythm)

* 단순한 화음

* 후렴 사용

* 장조의 음악이 많다.

- 새로 작곡된 찬송곡

3. 예배에서 회중 찬송

1) 회중찬송의 가치(잇점)

- 성경이 노래하라고 명하고 있다.

- 예배를 더욱 촉진하고 풍성하게 한다.

- 예배자의 경험을 더욱 강화한다.

- 우리의 믿음을 가르쳐 더욱 보강한다.

- 개인의 참여도 강화

- 회중의 연합을 가져온다.

- 우리의 믿음을 선포한다.

- 지치고 피곤한 자에게 위로와 용기를 준다.

2) 예배에서 회중 찬송을 위한 계획

- 이 찬송가를 모든 회중들이 잘 알고 있는가?

- 찬송가의 성격

- 찬송곡의 균형

4. 예배에서 찬송가 사용의 창조적 재안

1) 찬송과 설교

- 설교의 중요 내용에 대한 반응

- 찬송을 이용한 설교: 설교의 중요 포인트 사이사이 각 절을 노래한다.

2) 변주곡 형식의 찬송 부르기(찬송을 부를 때 여러 가지 변화를 주라)

- 합창으로 전주하고, 멜로디에 대한 장식음을 성가대가 부르는 방식

- 어떤 절은 독창자가 노래한다.

- 서로 다른 두곡을 번갈아 가며 교대로 부르기

- 절을 노래하거나 후렴은 무반주로

- 낭송(독창자와 회중 간에 찬송시를 서로 읽는다.)

- 어떤 절은 악기로만 연주한다.

- 서로 다른 곡들을 연결해서 부르기

- 두 곡을 한께 합쳐 부르기

5. 잘 알지 못한 찬송 가르치기

1) 흥미를 갖도록 자극을 주라

- 어떤 특정한 예배의 주제와 찬송가를 연결하라.

- 어떻게 회중들에게 감동과 신앙심을 일으킬지 찬송시의 중심 메시지를 강조하라.

2) 긍정적인 경험

3) 반복의 가치를 인정하라

4) 미리 연습하기

5) 그달의 찬송 선정

6) 찬송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활용

7) 가정에서 찬송가 사용을 권장하라

praying in the spirit Christians are quite familiar with the “I AM” statements in Scripture. They are powerful and share much about the character of Christ. They share God’s will for His son and for o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