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는 개인 생활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나의 ‘인간됨’이 어떠한지를 늘 반성하면서 더욱 그리스도인다워 지기 위해 항상 힘쓰는가?
2. 나는 언제나 자신의 부족함을 느끼고, 나의 ‘교사됨’이 우리의 교사상인 예수님을 닮기 위해 변화하고 싶어 하는가?
3. 나는 교사로서의 나의 신학이 성경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복음에 비쳐 볼 때 어떠한 것인가를 항상 반성해 보고, 검토해 보는가?
4. 나는 한 해 동안 최소한 한 권의 기독교 교육 전문 서적을 읽는가?
5. 나는 기독교 교육 잡지를 정기적으로 읽는가?
6. 나는 특별한 사유 이외에는 교사 강습회에 빠지지 않는가?
7. 나는 이따금 기독교 교육 전문가나 선임 교사 가르치는 일로 상담을 하는가?
8. 나는 가르칠 성경 본문과 공과를 전체적으로 공부하고, 필요한 시각 교제나 기타 교제를 준비하는가?
9. 나는 어떻게 시작하고, 진행시키며, 종결지을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지도안을 작성하는가?
10. 나는 교제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진행 과정 가운데서 발생할 문제까지 생각하면서 기도로 준비하는가?
11. 나는 최소한 가르칠 예정일 닷새 전에 준비를 시작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가?
12. 나는 학생들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존엄성을 인정하고, 그들의 인격을 존중하며, 그들의 요구와 관심이 무엇인지를 알려고 노력하는가?
13. 나는 그들과 더불어 자주 대화하고 주일의 정기 교회학교 시간 이외의 다른 날에도 나의 학생들과 사귀고, 즐기며, 함께 지내는 기회를 이따금 가지는가?
14. 나는 나의 학생들의 개인차를 민감하게 고려하면서 각 학생들이 가진 고유한 문제들을 해결해 주기 위해 힘쓰는가?
15. 나는 학생들의 일반 학교생활 및 그들의 오락과 사회생활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16. 나는 가르칠 때에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용어만 사용하는가?
17. 나는 학생들에게 공정하고, 편애하지 않으며, 학생들도 피차 존경하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는가?
18. 나는 가르친다는 것이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이 아니라는 것을 한 가지 이상의 참여 방법을 상용함으로써 가르칠 때마다 학생들에게 증명하는가?
19. 나는 학생들이 생각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미리 좋은 질문을 준비하여 사용하는가?
20. 나는 내 자신이 결론을 내려 주지 않고, 학생들이 스스로 결론을 내리며 진리를 행동화 하도록 이끄는가?
21. 나는 잘 들어주는 자 가되고, 나의 학생들이 발언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나의 목표로 삼아 실제로 시행하고 있는가?
23. 나는 때때로 학생들에게 숙제를 부과하여 그것을 공부 시간에 발표하도록 하는가?
24. 나는 학습지도안을 작성할 때 이끄는 말에서의 접급방법과 결론 등을 변화시킴으로 틀어박힌 천편일률적인 학습지도 방법에서 탈피해 있는가?
25. 나는 공과의 내용에 따라 대화극, 극적 놀이, 그림 그리기, 포스터 만들기 연구 등의 다양한 창의적 활동 지도 방법을 변화 있게 사용하는가?
26. 나는 그림, 융판, 사진, 실물, OHP, 빔 프로젝트 등 시각 교재를 바꾸어 가면서 사용하는가?
27. 나는 교사 기도회, 교사회 등의 모임에 규칙적으로 잘 참석하는가?
29. 나는 성령이 아니면 성경을 알 수도 없고, 예수 그리스도를 도저히 만날 수 없는 줄 알고 절대적으로 그를 의지하며 내가 가르치는 시간에 성령이 학생들의 마음속에 일하고 계심을 믿는가?
30. 나는 학생들의 부모와 가정 형편을 알고 있으며, 교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때 가정생활에서 오는 어떤 원인을 지적할 수 있는가?
31. 나는 부모들과 학생들의 영적 성장 문제나 주일학교 프로그램에 대하여 가끔 상의하는가?
32. 나는 세상의 지위가 어떻든지 주일학교의 교사가 된 것을 감사하고, 세상에서의 최고의 보람을 학생들과 함께 있으면서 느끼는 사람인가?
33. 나는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확신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기에 열심을 다하며, 특별한 사유 없이는 결석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학생보다 먼저 출석하거나 적어도 교회학교 시작 시간 15분전에 출석하는가?
34. 나는 공과 공부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나의 생활을 통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려고 애쓰는가?
35. 나는 학생들의 하나님에 대한 의식과 태도의 발전 및 사랑과 경외, 감사 등의 발전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태도 등의 발전으로 나의 교육적 성공을 측정하는가?
36. 나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에서 가치 있는 일에 헌신하는 것을 보아 교육의 성공을 측정하는가?
37. 나는 학생들이 생활의 모든 국면에서 스스로 행하는 모든 결정을 보고 교육 효과를 측정하는가?
38. 나는 나의 학생들이 각자의 성장 단계에 적합한 신앙고백을 하는 것을 보고 교육 효과를 측정하는가?
39. 나는 성경, 교회의 역사와 행적, 예수님의 생애와 교훈들, 학생들이 배운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성장을 알기 위하여 결과를 측정하는가?
40. 나는 성장, 가정과 학교, 교회, 놀 때의 행동 등 학생들의 일상생활의 질적 변화를 가지고 나의 교육의 성공을 측정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