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성막론(5)


등 대 (출 25:31-39)


등대는 한 조각의 순금을 길게 쳐서 견고하게 만든 것이다. 그것은 북쪽편 성소의 왼쪽편을 향하여 놓여졌다. 출애굽기는 등대의 모양 또는 치수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이 나무가지 모양과 꽃 핀 살구꽃과 같은 모양이었다고 추측한다. 그러므로 등대는 하나의 금으로 만든 나무 처럼 생겼다.

등대는 성소 안에 빛을 주기 위하여 영구적으로 켜 놓았다. "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취는 빛이 있었나니"(요1:19).


성막 안에 제사장들은 등잔 심지를 조절하고 그리고 기름을 일곱개의 등잔에 가득 채우도록 조석으로 책임지고 관리를 하였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세상의 빛이니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두움에 다니지 아니하고 생명의 빛을 얻으리라"(요8:12)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등대는 예수 그리스도가 세상의 빛인 그 자신을 가리킨다.


우리는 주의 빛이 필요하다; 주의 광명 중에 우리가 광명을 보리로다(시36:9). 어두운 데서 빛이 비취리라 하시던 그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을 우리 마음에 비취셨느니라(고후4:6). 이와같이 우리 자신의 욕망으로 인하여 그리고 이 세상 신들에 의하여 얼마나 눈멀고 속임을 당하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우리는 그의 빛은 보는 것 뿐 만 아니라 필요하다. 우리는 그의 빛 가운데 걷는 것이 필요하다(요1 1:5-7, 엡1:18). 이것은 그를 받아 들이지 않는 자들에게 반영하는데 나타날 것이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두움이 조금도 없으시니라, 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하고 어두운 가운데 행하면 거짓말을 하고 진리를 행치 아니함이거니와 저가 빛 가운데 계신 것 같이 우리도 빛 가운데 행하면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고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요1 1:9). 이런 내적인 일은 생명의 빛의 기능이다; 제사장들은 등잔에서 약한 심지를 견고케 하였고 그리고 기름으로 충만히 채웠고 그리고 빛이 다시금 밝게 타고록 만들었다(계1:12-13).


예수께서 마태복음 5:14-16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우리의 양심이 깨끗하고 빛 가운데 거할 때 우리는 세상의 빛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스리는 세상의 어두움 가운데서 주를 위하여 빛을 비출 수가 있다(빌2:15).


이것은 개인적인 면에서 빛의 체험이다. 그러나 등대는 일곱개의 등잔을 가지고 있다. 이 일곱의 수는 완전수이다. 그러므로 등대는 유사한 체험을 가진 다수의 등잔(사람)으로 만들어졌다(계2:1).

praying in the spirit Christians are quite familiar with the “I AM” statements in Scripture. They are powerful and share much about the character of Christ. They share God’s will for His son and for o

bottom of page